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네트워크 관리사 필기2

2과목 네트워크 일반(최종) 1. 패킷 교환의 특징 패킷과 함께 오류제어를 함으로서 고품질, 고신뢰성 통신이 가능하다 패킷을 전송 시에만 전송로를 사용하므로 설비 이용 효율이 높다 에러탐지 기능, 디지털 전송, 고품질, 고효율적 패킷마다 최적의 경로를 유동적으로 설정 전송속도나 흐름제어 가능 패킷교환의 방식으로는 연결형인 가상회선방식과 비연결형인 데이터그램(datagram) 두 가지가 있다. 2. 데이터그램(Datagram) 패킷교환방식 IP주소를 사용하는 인터넷을 의미 망의 한 부분이 혼잡할 때 전송 패킷에 다른 경로를 배정할 수 있고, 융통성 있는 경로를 설정한다. 논리적 연결 설정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연결형 방식이다. 특정 교환기의 고장 시 모든 패킷을 잃어버리는 가상회선과 달리, 그 경로를 피해 전송하므로 신뢰성이 높다.. 2021. 11. 14.
1과목 TCP/IP 요약정리(최종) 1. 요약 표기된 IPv6주소를 요약되기 전 상태로 표기 2000:AB:1::1:2 -> 2000:00AB:0001:0000:0000:0000:0001:0002 설명 : 요약 표기 중에는 0을 절삭한다. IPv6는 128bit이므로 주소가 8칸이 표시되야 하므로 :: 사이를 0으로 채워준다. 2. ICMP 메시지의 타입번호와 설명 타입 0 : Echo Reply (에코 응답) 타입 3 : Destination Unreachable (목적지 도달 불가) 타칩 4 : 흐름제어 및 폭주제어를 위해 사용 타입 5 : Redirect (경로 재지정) 타입 8 : Echo Request (에코 요청) 타입 11 : Time Exceeded (시간 초과) 3. ICMP 메시지가 사용되는 경우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보낼.. 2021. 1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