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OSI 7 Layer란?
: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표준화를 위해 개발된 모델로 7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4계층은 하드웨어 계층(하위), 5~7계층(상위)은 소프트웨어 계층으로 구분된다.
1Layer : 물리계층(Physical) | 특징 : 장비끼리 직접 연결하는 계층 예시 프로토콜 : 없음 데이터 단위 : 비트(Bit) |
2Layer :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 특징 : MAC주소를 지정해주는 계층, Lan과 WAN을 구성, 주로 이더넷을 사용 예시 프로토콜 : Ethernet, HDLC, PPP 데이터 단위 : 프레임(Frame) |
3Layer : 네트워크 계층(Network) | 특징 : IP주소를 지정해주는 계층 예시 프로토콜 : ICMP, IP, ARP 데이터 단위 : 패킷(Peacket) |
4Layer : 전송 계층(Transport) | 특징 : Port주소를 지정해주는 계층 예시 프로토콜 : TCP, UDP 데이터 단위 " 세그먼트(Segment) |
5Layer : 세션 계층(Session) | 특징 : 특정 종류의 서비스를 받을 때만 사용 예시 프로토콜 : 없음 |
6Layer : 표현 계층(Presentation) | 특징 : 인코딩, 압축, 암호화 등에 대한 정보 표현 예시 프로토콜 : 없음 |
7Layer : 응용 계층(Application) | 특징 : 인터페이스 계층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받는 계층 예시 프로토콜 : HTTP, FTP, DHCP, DNS |
반응형
'Network > 네트워크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IP 모델 정의 (0) | 2021.10.28 |
---|
댓글